미 육군이 병사들의 휴대 배터리 수량을 줄이기 위한 장비 3종을 공개하였다. 72시간의 작전에 참가할 경우 병사 1인당 평균적으로 14lbs에 이르는 배터리를 휴대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병사들의 운동에너지를 포집하여 재화용함으로써 충당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것이다. 미 육군이 구상하는 에너지 포집 장치는 아래와 같다.
2014-12-15 01:48미 해병대 지휘부는 로켓·대포·박격포·순항미사일·무인항공기 및 기타 탐지가 잘 안되는 무기체계위협으로부터 해병대를 방호하기 위한 레이더 체계의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해병대 관계자는 G/ATOR(Ground/Air Task-Oriented Radar)의 운용자용 지휘통제 컴퓨터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XP 운영체제에서 미 국방정보체계국(Defense Information Systems Agency) 기준을 준수하는 리눅스 운영체제로 전환하는 1,02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노드롭그루먼사와 체결했다고 발표했다.G/ATOR 레이더는 원정군용 3차원·단거리-중거리·다기능 레이더체계로서, 레이더 반사면적(RCS)이 낮아 탐지가 용이하지않은 표적 탐지를 위해 설계되었다.리눅스는 개방형 소스 소프트웨어 운영체제로서사용의 용이성·신뢰성·적절한 가격으로 인해 군사용자의 호평을 받고 있는 유닉스 운영체제 및포직스(Posix) 운영체제 인터페이스와 관련이있다.
2014-12-12 00:0610일(현지시간) 미 해군은 지난 9∼11월 세계 최초로 30㎾급 레이저무기체계(LaWS·사진) 시제품을 수륙양용수송함(LPD) ‘폰스’호에 탑재해 걸프만에서 운용했다며 “결과가 매우 성공적이며 이는 역사적인 도약”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 해군은 “2020년대 초부터 미군 함정들이 레이저무기를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도미사일 구축함과 연안전투함(LCS)에 가장 먼저 레이저무기가 장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해군에 따르면 폰스 호에 장착된 이 레이저무기는 사격 시범에서 빠르게 접근하는 소형 표적 선박에 장착된 로켓 모양의 물체를 정확하게 파괴했다.날개 폭이 약3m크기인 표적 무인기에 공격을 가하자 불과1~2초만에 무인기를 정확하게 파괴했다.이 레이저무기의 출력을 낮추면 사람이 눈부심을 느낄 정도의 위력만 내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고 미 해군은 설명했다.미 해군은 이 레이저무기가"장착된 다른 무기들과 무리없이 공동 운용됐으며,폭발 위험성이 훨씬 적어 승무원들에게는 더 안전하다"고 말했다.현재LaWS의 출력은30㎾로 기존 고성능 폭탄보다 파괴력이 떨어지고 사거리도1.6㎞로 짧다.하지만 군사전문가들은LaWS가 조종이 쉽고 타격이 정확하며 발사비
2014-12-11 21:47미 록히드마틴사가 MUOS(Mobile User Objective System)-4 위성통신체계에 대한 열 진공시험을완료함으로써 미 해군의 2015년 발사를 위한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열 진공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MUOS-4 위성이 수명주기 동안 겪게 되는 극도로 뜨겁고 차가운 온도를 견뎌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이 체계는 2015년 후반기 발사에 앞서 최종적인 통합시험이 계획되어 있으며, 향후 MUOS 위성군(群)의 일부로서 전 세계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MUOS 위성은 이동 중인 전투원에게 안전하고 개선된 이동식 위성통신을 제공한다. MUOS 광대역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es) 기술은 최초로 사용자들로 하여금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체계를사용하여 가시선 초월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 능력 제공한다.현재 총 5대의 위성 중 MUOS-1 위성은 2012년에 발사되어 운용 중이고, MUOS-2위성은 2013년에 발사되어 미 해군 운용을 위해 납품되었으며, MUOS-3 위성은 2015년 1월 발사를 앞두고 있고 MUOS-5 위성은 2016년에 발사될 예정이다.
2014-12-10 01:45미 해군용 전자기 레일건을 개발하고 있는 BAE시스템사는 시제품 체계 배치를 2016년에 계획하고있으며, 육군의 차세대 미래전투차량(FFV : Future Fighting Vehicle)에 레일건을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출력을 높이고 크기를적게 하여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가능한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레일건은 종전 체계보다도 발사체를 멀고 빠르게 발사하기 위해 화학 폭발물 추진체를 사용하는 대신고출력 전자기식 에너지를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술로 현재 2단계 사업에 있으며, 단발 사격 운용에서연속 사격으로 발사장치 및 펄스 출력을 높여 발전시킬 예정이다.레일건은 전통적인 화포보다 훨씬 더 높은 속도로 발사체를 가속화할 수 있으며, BAE사 시제품의 포구 속도는 마하 7.5,사거리가 200km를 초과한다. BAE사는 레일건의 도입을 단지 해군으로만 국한시키기에는너무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이 체계를 미 육군의 차세대 보병전투차량인 FFV를 위한 하나의 옵션으로 제안했으며, 이 차량은 2019년 초에 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4-12-09 01:54미 육군은 에지우드(Edgewod) 화학생물학센터에서 화학작용제 탐지기(JCAD : Joint Chemical Agent Detector)에 폭발물 탐지능력을추가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고 밝혔다.JCAD는 BAE시스템사에서 개발한 장비로 2003년부터 배치되어, 미군은 현재 약 56,000대를 보유하고 있다.JCAD에 시료 채취용 프로브 스왑(Probe Swab) 및 흡입구를 갖춘 JCAD Rain Cap을 추가하였다.CAD는 원래 기화물질 탐지를 위해 설계되었으나, 대부분의 폭발물은 탐지에 필요한 기화물질을 거의 혹은전혀 발생시키지 않았다. 따라서 JCAD 내에 증기 발생에 필요한 교정제(calibrant)와첨가제(dopant)를 추가하였고, 이 첨가제는 탐지기의 화학적성질을 변경시켜 폭발물 탐지를 용이하게 해준다.프로브 스왑을 이용하여 폭발물 표면에서 시료를 채취하여흡입구에 집어넣고, 버튼을 누르면 시료 채취에 사용된프로브 스왑 끝이 가열되어 잔류 폭발물질을 기화시킨다.
2014-12-05 02:25미군이 우크라이나 군에게 AN/TPQ-48 경량 대박격포 레이더(LCMR : Light Counter-Mortar Radar) 체계 전체 20대 중 초도 인도분3대를 제공했다고 밝히며, 12월 중순에 우크라이나 군 요원에 대한 훈련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우크라이나 군이 배치 시기, 장소 및 방법을 정하고 사격지휘체계와 결합하여 대박격포 사격을 할지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지상군과 함께 대응조치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레이더 체계는 미국이 우크라이나 군을 지원하기 위해 약속한 1억 1,8000만 달러 규모의 장비 및 훈련 지원계획의 일부분이다.AN/TPQ-48 LCMR은 개인휴대형 체계로서 일차적으로 박격포탄을 탐지·추적·위치결정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후속 버전은 로켓을 추적할 수 있다. 전자주사식 안테나를 이용하여 360° 감시할 수 있으며, 감지 및 경고·대응사격 등 2개의 별도 운용모드를 구비한다.고도로 기동성을 발휘하며, 차량 및 고정익·회전익 항공기에 탑재가 가능하다.상시 전천후 능력 제공, 최대 탐지거리 10.2km, 탐지고각 30°, 방위각 360° 탐색 가능하다.
2014-12-05 02:20미 Megit사가 실내 모의사격 훈련체계의 성능개량을 위해 미 해병대와 3,0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체결하였다. 계약을 통해 3차원 시뮬레이션 기반체계를 제공하게 되며, 기본 및 고등사격술·전투사격술·무기운용 전술등의 교육을 지원한다.이 체계는 교관/운용자실, 오디오/비디오체계, 호스트 컴퓨터, 입/출력 네트워크체계, 무기 등으로 구성된다.미 육군은 6월에 Megit사를 차세대 가상현실 소화기 훈련장치인 교전기술 훈련장치 I(EST I : Engagement Skils Trainer) 개발업체로 선정했다.현행 EST 200 체계보다 기술 및 능력 면에서 더 뛰어나고, 첫 납품은 2015년 12월 시작될 예정이다.지능형 코칭 앱프로그램을 무선 태블릿에 포함시킴으로써 교관들이 훈련진행 중에도 시나리오를 신속히 변경이 가능하다.Megit사의 부사장은 소화기 훈련 시뮬레이터를 몰입형으로 만들어훈련병들이 실제 사격훈련과 동일한 경험을 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2014-12-05 02:16Airbus Defence and Space(DS)사가 미 공군의 Eagle Vision 기지 5개소에 대한 새로운 위성과통합시키는 성능개량 작업 및 정비 관련 계약 체결을 발표하였다.Eagle Vision 기지 5개소는 독일 Ramstein 기지, San Diego 기지, McEntire 기지, 하와이 Pearl Harbor-Hickam 기지, Redstone Arsenal 기지이다.Eagle Vision 체계는 경량 설계의 상용 위성영상 다운링크를 위한 지상체계로서, 사용자들에게 광학, 합성 개구 레이더(SAR), 중간 및 고해상도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시 작전·자연재난 구조작전·국토방어 준비태세를 지원한다.이 계약에 따라 Airbus DS사는 체계 개선작업을 2019년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체계의 운반 케이스 및 쉘터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며, 작은안테나 접시 도입할 예정이다.WorldView 및 Pleiades 위성 등 2개의 새로운 위성으로부터 데이터를수신하여 처리해야 하며 또,고장수리, 부품관리, 예방정비, 운용간 훈련 및 지원 등 지속유지 작업도 수행해야 한다.
2014-12-02 02:04미 Cubic사가 전술차량체계(TVS : Tactical Vehicle System) 및 계기화 다중통합 레이저 교전병사 착용형 체계(I-MILES IWS)에대한 5,100만 달러 이상 금액의 신규 주문을 미 육군의 시뮬레이션 훈련장비 사무국으로부터 수주했다고 발표하였다.I-MILES IWS는 휴대 무기 및 병사 신체에 센서를 부착하여 레이저 발사장치를 사용하며, I-MILESTVS는 Cubic사의 IWS를 차량형으로 개선한 것으로서 차륜형 차량 및 기타 전술차량에 레이저·센서· 전자장치를 장착하고 부대쌍방 전투훈련연습 기간 중 사용한다.하원 군사위원회 위원인 Duncan D. Hunter 의원은 “Cubic사의 TVS와 I-MILES 솔루션은 병사들이 전투기술을 연습할 수 있고 실제전장과 같은 환경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실제 부대쌍방훈련 기간중에 사용할 수 있으며, 부대의 임무 수행 준비태세를 달성·유지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피드백을 제공한다.”라고 강조했다.용어설명I-MILES IWS : Instrumentable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Individual Weapon Systems
2014-12-02 02:00현재 건조 중인 미 해군의 Zumwalt급 구축함 2번함인 Michael Monsor함의 갑판실(deckhouse)이 선체에 성공적으로 통합되면서 전체 건조공정의 79%가 완료되었다.Michael Monsor함은 전장 610ft, 함폭 80.7ft, 배수량은 약 15,000톤, 승조원은 158명이다.선체에 통합된 갑판실은 탄소복합소재 판넬(Balsawod-Cored Carbon–Composite Panel)로제작되었으며 측면형상이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 등 레이더 프로파일 감소를 위한 설계가 적용되었다. 또한 갑판실은 길이 15ft, 높이 50ft, 무게가 900톤에 달하며, 함교와 레이더, 안테나 및 흡배기시스템 등이 자리하게 된다.미 해군의 차세대 전기추진 구축함의 선도함인 Zumwalt함은2014년 4월에 명명식을 갖고 취역을 위한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며, 2번함은 2017년에 해군에 인도 예정이고 3번함인Johnson함은 2012년 4월에 건조에 착수하였다.
2014-11-26 00:15미 육군 여단현대화사령부가 Force 2025 사업의 일환으로 기동여단 중대급까지 실시간 정보 전송이 가능한미 육군의 전투원 전술정보 네트워크(WIN-T : Warfighter Information Network-Tactical)에 대해 야전시험을 완료하였다.네트워크 통합평가(NIE :Network Integration Evaluation)는 10월 3일부터 11월 4일까지 진행되었고, 장비에 대한 전술·기법·절차개선에 대해 실시하였다.시험이 이루어진 지역은 사막보다 열악한 지형으로서, 기복이 심하거나 높은 산악지역, 좁고 넓은 고개 등모든 조건이 평가에 있어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였다.신형 네트워크는 실행 가능한 정보를 처리하기 쉬운 방법으로 제공함으로써 지상군 지휘관이 주변전장상황인식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부대를 더욱 민첩하고융통성 있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체계의 단순성 및 상호운용성과 관련하여 시험이 실시되었으며, 네트워크는현행 체계와 쉽게 작동하고 미래 장비와도 잘 호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14-11-26 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