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군이 SSCI와 GBU-39/B 소구경폭탄 개량형 I(SDB I) 활공폭탄에 대한 새로운 영상기반항법 및 정밀 표적지정 기술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SSCI는 2년간 1,150만 달러 규모의 계약에 따라ImageNav-SDB 첨단 항법체계의 기술성숙도에 대한 비행시험·시연·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ImageNav-SDB 첨단 항법체계는 지형 데이터베이스와 비행체의 비행경로를 비교하기 위해 플랫폼의 기존 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 체계이며, 실제 상황과 거의 유사한 모의시험에서 원형공산오차 3m 미만의 항법 정밀도를 시연했다. SDB는 저렴하고 표적 외 피해가 적은 정밀타격무기로 보잉사가 개발하여 2006년부터 운용 중이다.SDB는 250파운드급 무기로서 사거리가 112km 이상이며, 첨단 항재밍 GPS 지원 관성항법체계 등을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용어설명 ※ SSCI : Scientific Systems Company Inc※ SDB I : Small Diameter Bomb Increment I
2016-01-25 19:02벨 헬리콥터(Bell Helicopter)사는 V-280 밸러(Valor) 틸트로터기의 설계를 완료하고 시제기를 제작 중이라고 밝혔다. V-280은 벨사와 록히드마틴사가 미 육군의 3세대 수직이착륙기 FVL-M 개발에 필요한 기술시연을 위한 JMR-TD 프로그램 하에 개발중이다.엔진과 로터가 함께 움직이는 V-22 오스프리(Osprey)와 달리 엔진은 고정되고 로터만 회전하는 설계 적용되었다.순항속도 280kts, 항속거리 2,100NM, 총이륙 중량 30,000lbs이며 유효전투반경 500~800NM 이다.JMR-TD사업은 차세대 중(中)형 수직이착륙기(FVL-M)의 개발 요구조건을 구체화하기 위한 기술시연 사업이다. 이 사업은 벨-록히드마틴사의 V-280 밸러와 시코르스키-보잉사의 동축로터 헬기 형상의 SB1 디파이언트(Defiant) 두 기종이 동시에 개발되었으며, 2017년 기술시범 비행을 실시할 계획이다.벨사는 V-280의 기술 대부분이 TRL-6 이상에 도달한 것으로 발표했다.미 육군은 기술시연 후에 FVL-M 개발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며, 장기적으로 FVL-H 개발도 계획하고 있다. 용어설명※ FVL-M(H) : Future Vertical Lif
2016-01-25 17:51미 해군의 차세대 구축함 줌왈트함(DDG1000)이 2015년 12월 7일 해상시험에 착수하였다. 줌왈트함은 2011년 건조에 착수하여 2013년에 진수하였으며, 이번 시험은 함에 설치된 기본 시스템 성능과 역아치형 선형 설계의 내항성 입증 등에 중점을 두고 실시되었다.줌왈트함은 만재배수량 14,564톤, 전장 182.9m, 함폭 24.6m, 흘수 8.4m이며, 사거리가 일반 함포에 비해 5배에 달하는 155mm 함포 2문을 탑재하고 있다. 이 함포의 사거리는 117km에 달해 장거리에서 적진의 지상 시설물에 대한 포격이 가능하다. AN/SPY-3 X밴드 다기능 레이더와 VSR(Volume Search Radar) 레이더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3번 함에는 레일건 탑재가 추진되고 있다. 초도함은 2016년에 취역할 예정이다. 이 함정은 기존 미군의 구축함 중 가장 큰 규모이며 현재 3척이 건조되고 있다.
2015-12-22 09:38미 공군은 F-35 전투기에 탑재된 사출좌석 및 헬멧의 위험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좌석사출시 몸무게가 가벼운 조종사의 목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고 밝혔다. 당초 조종사의 몸무게를 61.7kg~111.1kg으로 가정하고 설계를 하였으나, VSI사가 개발한 조종사용 헬멧이 무거워 몸무게 74.8kg 이하의 조종사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이에 미 공군은 제작사와 함께 사출시스템 및 헬멧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1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VSI사는 미국 록웰콘린스와 엘비트사가 공동 출자하여 설립한 전투기 헬멧 및 시현장치 전문회사이다.2017년 중반까지 개선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는데, 보완작업을 통해 사출석 낙하산 전개를 늦추어 전개력을 감소시키고, 헬멜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등의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2015-10-29 13:16미 공군이 핵무기 폭발 시에 발생하는 전자기 펄스 상황 하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신개념 통신체계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 공군은 핵 폭발 상황에서 항재밍 특성을 지니면서 안전한 송신이 가능한 광대역 무선 송수신기를 개발하는 NCAST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높은 주파수 대역에 있는 공중 통신은 핵 대기 환경에서 증가된 무선통신의 생존성 및 내구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5-10-05 13:08미 육군은 '레이븐 짐벌' 소형 무인항공기의 카메라 성능개량을 실시하였다고 밝혔다. 이 무인기는 360도 정찰이 가능하며 적외선 감시능력도 갖추고 있어 주·야간 전천후 작전에 적합한 기체이다. 이 소형 무인기는 병사가 손으로 던져서 발진하기에 적진 깊숙히 침투해야 하는 특수부대 등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 무인기의 경우 360도 전방향 감시가 불가능하여 다른 방향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무인기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360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됨에 따라 감시정찰의 효율성이 향상되게 되었다.
2015-09-13 20:27미 해군이 수중에서 무선으로 무인잠수정을 충전하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이로 인하여 무인 잠수정의 작전능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미 해군은 올해 7월 버지니아급 'North Dakoda' 함에서 REMUS 600 수중드론을 출격시켰다가 회수하는데 성공한 바 있는데, 수중무선 충전기술의 성공으로 수중드론의 작전 능력이 대폭 증가하게 된 것이다.최근미 해군은 SSC PAC의 수중광학통신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시된 기술 입증 시험에서 중형급 연구무인잠수정의 내장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데 성공함에 따라 관련 기술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2015-09-13 19:23미 육군의 엑스칼리버(Excalibur) 사업단은 M198 155mm 견인식 곡사포에 모듈식 추진제를 사용할경우 최신형 M982A1 엑스칼리버 Ib(Increment b)탄을 사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M198포에 엑스칼리버 Ib를 사용할 경우 최대 사거리가 50km로 증가되고, 표적의 2m 내의 정확도를 가진다. 이 155mm탄은 GPS 유도를 하여 정확도가 높아, 초탄 유효도가 향상된다. 또, 비회전 고정식 부품을 사용하고 그 종류를 줄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이 탄은 미 육군, 미 해병대와 독일, 캐나다, 스웨덴 군이 보유하고 있다. M198 155mm 견인식 곡사포는 1979년에 배치되기 시작하였고, 1992년까지 1,600문 이상 생산되었다. 미국 외에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파키스탄 등 11개국에서 운용 중이다. 최대사거리는 재래식 탄으로 22.4km, RAP 탄으로 30km이다.M198포는 재래식의 155mm 곡사포이며 현재도 12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신형 엑스칼리버 Ib 탄을 구형 M198포에서도 사용 가능한가에 대해 미국뿐아니라 타 국가에서도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에 미 육군은 사격시험을 통하여
2015-09-10 20:43미 공군연구소, 미 해군, 록히드마틴사가 휴대기기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사용자위성통신체계(MUOS)를 설계·제작·시험하였다. 이 체계는지상에 있는 미군들의 통신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공중의 대형 기지국으로 설계되었다. 기지국이 지상이 아닌 지구 상공 22,000마일 정지궤도위성에 있으며, 통신권역을 전 세계로 확대하기위해 4개 위성이 운용된다.이 체계에 대한 시험은 남극대륙에 있는 국립과학재단, 맥머도(McMurdo) 및 아문센 스콧 기지에서실시되었다. 시험을 통해 휴대전화가 가용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3G 무선 품질의음성·텍스트·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남극대륙에서 다른 무전기 또는 휴대전화가 작동하지 않는 장소에서도 MUOS를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이 체계에는 상용 응용프로그램이 있어 비행 중에는 ‘비행기 모드’를 제외하고휴대전화 사용이 불가하나 MUOS를 이용할 경우 항상 연결상태 유지가 가능하다. 용어설명 ※ MUOS : Mobile User Objective System
2015-09-09 21:23미 CACI사가 야간투시 및 적외선(IR) 기술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미 육군과 계약을 체결하였다. 2,8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에 따라, 미 육군 전자통신 연구개발 엔지니어링 센터(CERDEC) 야시경 전자센서부(NVESD)에 특화된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또,축적된 CACI사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미국 병사를 방호하고, 전장에서의 전술적 이점 보장을 위한 IR 관련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CACI사는 주야간 열악한 시야 조건에서 공중·해상·지상 표적을 탐지하는 야간투시 및 IR 기술 연구개발을 위해 기술·엔지니어링·사업관리지원을 제공할 예정임이다. 적대세력과 위협에 대한 상황인식 강화를 위해 첨단 센서기술 개발지원 실적을 활용할 예정이며 작업은 향후 22개월 동안 시행하게 된다.CERDEC NVESD는 IR 무기 조준경 및 감시체계 등과 같은 첨단 야간 투시 및기타 센서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활동을 실시하게 된다. 용어설명 ※ CERDEC : Communications-Electronics Research, Development and Engineering Center※ NVESD : Night Vision and Electronic Sensors Dir
2015-09-07 14:03미 해군은 해양학연구함(Oceanographic Research Vessel) 1번함인 닐 암스트롱함(AGOR 27)의인수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닐 암스트롱함은 상용선박을 근간으로 설계된 단일선체의 함정으로 연안 및 심해해역에서의 해양조사, 해도작성 등 해양학 연구조사와 해군 특수임무를 지원한다. 인수시험에서 함정의 추진체계, 위치확인통제체계, 항법, 크레인 및 윈치, 통신체계의 성능을 평가할 예정이다.닐 암스트롱함은 전장 72.5m, 함폭 15.2m, 흘수 4.5m, 배수량 3.043톤, 순항속력 12kts에 항속거리는10,545NM이다. 고효율 엔진과 배기가스 통제체계 장착, 함 시스템 감시 첨단정보기술,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첨단 통신체계, 유지관리 비용 절감을 위한 선체 특수피막처리 기술 등이 적용된다. 용량 1,044kW 디젤엔진 4기와 879kW의 전기추진 모터 2기로 추진되며, 승조원 20명과 연구조사요원 24명을 수용할 수 있다. 함정 이름은 미 해군의 항공기 조종사이자 인류 최초로 달에 첫발을 내디딘 닐 암스트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5-09-04 23:26미 육군은 AH-64E 아파치 헬기용으로 현대화된 M-DSA센서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록히드마틴사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하였다. M-DSA는 M-TADS/PNVS 표적획득 지시 및 야간투시 조종체계의 성능개량 버전이다.성능개량의 첫 단계에는 ‘현대화된 레이저 거리측정·지시기’(M-LRFD) 생산이 포함되어 있다.이 지시기를 통해 조종사는 표적을 선정하고, 정확한 무기로 공격하기 위해 표적거리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록히드마틴사는 M-LRFD 키트 786대를 제작하였으며, 이중 200대 이상을 미 육군에 공급하게 된다. M-DSA 성능개량을 통해 조종사들이 고해상도, 근적외선 및 컬러영상을 조종실 디스플레이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한, 조종사들은 훈련연습·도시환경에서 안전한 비행을 할 수 있고, 지상부대와도 긴밀하게 협조가 가능해지게 된다. 용어설명 ※M-DSA(Modernized Day Sensor Assembly)※ M-TADS/PNVS : Modernized Target Acquisition Designation Sight / Pilot Night Vision Sensor
2015-08-25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