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6일부터 9월 7일까지 경북 포항 독석리와 화진리 해안에서 한국군·미군·영국군의 사단급 상륙훈련 ‘쌍룡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과거에는 여단급 훈련으로 실시되었으나, 작년부터는 한국·미국·영국군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상륙훈련이 되었고, 규모도 여단급에서 사단급으로 대폭 확대되었다. 훈련에 참가한 병력의 수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사단급 훈련이면 대략 1~2만 명이 훈련에 참가한 것이며, 함정 40척, 항공기 40대, 수륙양용장갑차 40대가 훈련에 참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에 상륙작전에 참여한 상륙함의 경우 한국 해군에서는 독도함과 마라도함이 참여하였으며, 미 해군에서는 4만 톤급 복서함이 참가하였는데, 복서함에는 상륙병력 2,000명, F-35B스텔스기 20대, MV-22 오스프리, 바이퍼 공격헬기, 100여대의 지상군 기갑장비가 탑재된다. 또 독도함과 마라도함에 각각 약 700여 명의 상륙병력이 탑승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 참가한 상륙함이 상륙시킬 수 있는 병력 규모는 최소 3,000 ~ 4,000명 이상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연합공군이 제공권을 장악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원산항, 청진항, 남포항 점령을 위해서 투입할 수
지난 21일 한화그룹은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조선소를 1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밝혔다.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필리조선소 지분 100% 중 60%를 한화시스템이 인수하고, 한화오션이 40%를 인수함에 따라 한화그룹이 본격적으로 미 해군 함정 건조 및 수리 시장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연간 미 해군 함정 수리 시장은 약 2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화그룹은 미 해군 함정 수리 시장에도 적극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필리조선소는 노르웨이 석유가스·재생에너지 전문기업인 아커사의 미국 소재 자회사이고, 미국 내 PC선, 컨테이너선 등 대형 상선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 해군 수송함의 수리 및 개조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중국의 군사적 도전을 받고 있는 미국은 현재 중국 해군과 함정 건조 경쟁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다. 미 해군은 현재 290척의 각종 함정 및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지만, 해군의 경우 한 척이 작전에 참여하면, 한 척은 훈련, 한 척은 정비하는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실제 미 해군이 작전에 투입할 수 있는 함정은 100척 미만인 상태이다.100척 미만의 함정으로 전 지구를 커버하는 미 해군의 특성상, 인도태평양 지역을 맡고
미국 내 대표적인 외교정책 연구소인 브루킹스 연구소의 시니어 펠로우 에반스 리비어 연구원은 지난 9일자 "김정은의 북핵 포기란 없을 것"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미북대화를 앞둔 시점의 미국과 북한의 현 기조를 비교하며 북한 김정은 정권의 비핵화 가능성을 일축했다. 리비어 연구원은 해당 사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보좌관들을 통해 김정은의 한반도 비핵화 의도는 결코 존재하지 않는 옵션 (Nothing of The Kind)임을 들어왔을 것"이라며 "북한 정권에게 핵무기를 놓고 협상을 벌이는 것은 꿈에서도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리비어 연구원은 또한 평양과 직접적으로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협상을 현재까지 진행해 온 외교전문가들은 북한의 입장에서 한반도 비핵화란 한반도 내의 한미간 동맹관계, 한국 내 주한 미군 및 한국과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핵우산 등 북한 정권에 위협적인 요소들이 모두 없어진 이후에나 가능한 외교적 수단임을 알고 있다며 비핵화가 결코 현실적으로 실현될 수 없음을 강조했다. 리비어 연구원의 이러한 언급은 이미 지난 3월부터 한국 내 언론을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다. 미국의 소리 (Voice of America) 브라이
對北송금 및 북한의 불법자금 세탁 등의 혐의로 美 재무부의 조사를 받던 라트비아 내 3대 규모의 ABLV 은행이 결국 회생절차 없이 파산할 것으로 보인다고 英 로이터 통신이 지난 2월 23일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은 독일 프랑크푸르트 및 라트비아 수도 리가 발외신기사를 통해 유럽연합 산하 독립기관 단일정리위원회(SRB) 및 유럽중앙은행(ECB) 당국으로부터 ABLV 은행이 파산절차에 들어갔다는 당국 관계자들의 언급을 인용하여 보도했다. 라트비아에서 3번째 규모를 자랑하는 ABLV 은행은 지난 2월 13일 미 재무부 산하 금용범죄정보분석원 (이하 FinCEN)으로부터 북한에 송금할 목적의 불법자금 세탁 혐의로 경고를 받았다. 이 때문에 국제금융시장에서 모라토리움 대상으로 분류되며 단기간에 대규모의 고객 이탈 사태를 겪었으며, 이를 막기 위하여 경고발령 1주 만에 라트비아 금융당국으로부터 은행자산 동결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 ABLV 은행의 감독기관인 ECB는 "심각한 자산 유동성 상실로 인하여 ABLV 은행이 정해진 기한 내에 채무를 이행하거나 법적 책임을 수행할 능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며 "라트비아 당국의 예금보장기금이 유치되기 전부터도 해당 은행은
미국 블룸버그 통신의 지난 2월 19일자 보도에 의하면, 이란이 미국 정부의 유럽 내 금융기관들에대한 對이란 제재 강화를 회피할 목적으로 불법자금 창구를 한국과 대만 등 아시아 국가들의 금융기관들을 활용하고있다. 블룸버그는 "미 정부의 유럽 내 금융기관들에 대한 이란 제재 조치가 강화됨에 따라,이란이 불법무기개발자금 등 금융제재 회피를 목적으로 개설한 창구들이 아시아 국가들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는 조사 결과를인용하여 보도했다. 이 중 국내 주요 은행 두 곳인 IBK 기업은행 및우리은행이 미화 1백억 불 규모의 불법자금 세탁을 위한 에스크로 계좌 (EscrowAccount)를 개설한 혐의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 금융청은지난 2년간기업은행과우리은행 이외에도중국농업은행, 한국의농협은행 및 대만 자오펑 국제산업은행에도 이란에 대한 국제제재 이행 미흡을 사유로 경고 및 징계조치를 단행한바 있다. 2013년 및 2014년에는 두 차례에 걸쳐 일본의 동경-미쯔비시UFJ 은행이 이란 금융제재조치 위반으로 총 56억 달러의 합의금을 뉴욕 금융당국에 배상했다. 이러한 이란의 불법자금 거래창구가 아시아로넘어온 배경에는 해당 아시아 국가들이 이란을 상대로 석유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