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15억 달러(한화 1조 7천억원) 어치의 비트코인을 사들여 <현금 다양성을 강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했다>고 전해진다. 더구나 앞으로 테슬라 제품의 결제수단으로 비트코인을 도입하겠다고 선언했다. 대부분의 주요 경제 매체들은 이를 전세계 화폐 관련 지각 변동을 알리는 신호탄으로까지 받아들이는 상황이다. 우선, 관측통들의 가장 큰 의문은 일론 머스크가 운영하는 회사가 왜 이런 일을 하느냐는 것. 약 12년 전까지만 해도 존재하지 않았던 비트코인에 대한 테슬라의 투자 움직임은 일찌감치 자본력을지탱할 복안으로 받아들여진다. 다만 비트코인은 급격한 가격 변동이 발생하기 쉬운 변동성 자산으로, 월요일 테슬라의 발표는 기업 금융 전문가들이 비트코인을 어떻게 분류하느냐에 따라 이 회사의 대차대조표에 불필요한 위험을 추가하게 될 수도 있다. 현재, 비트코인 보유로 머스크가 왜 자신의 회사를 위험에 노출시키려 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여기 이 혁명적인 전기차 회사가 암호화폐 대열에 동참하게 된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다양화 테슬라는 이날 증권거래위원회(
2021-02-10 14:04지금으로부터 12년 전인 2009년 5월, 영국 가디언지는 오늘날 온갖 음모론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 뉴욕에서 가진 <지상 최대 억만장자들의 비밀 회동>에 대해 인용 보도한 바 있다. 이름하여 세계 최상의 억만장자 엘리트 자선사업가들의 모임인 「굿 클럽(THE GOOD CLUB).」 보도에 따르면, 일반인은 이 클럽에 아예 가입할 수도, 가입에 관해 물어볼 수도없다. 회원은 <세계 최고의 유대계 억만장자들>이다. 빌 게이츠, 워렌 버핏, 조지 소로스, 데이비드 록펠러, 테드 터너, 오프라 윈프리와 더불어, 이름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재산면에서는 이들에게 절대 밀리지 않는 대부호 <엘리 브로드 > 등도 끼어 있었다고 가디언지는 전했다. 게다가 이들의 재산을 다 합치면 1250억 달러가 넘는다고.... 현재 가치는 이보다 훨씬 더 커졌을 것이다. 장소는 「록펠러 대학(The Rockefeller University)」 총장 관저. 당시 총장은 장기 출타 중이었다. 말하자면 주인도 없는 빈 집에 객들이 모여들어 비밀클럽을결성했다는 것이다. 더구나 이 대학의 총장 관저는 뉴욕 맨하튼 어퍼사이드 동쪽 깊은 숲속에 위치한 경비가 삼
2021-02-08 14:58화이자가 COVID-19 백신으로2021년에만 벌써 약 15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2일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화이자 사가 독일 협력사 바이오엔텍(BioNTech)과 함께 개발한 COVID-19 백신을 통해 올해(1월 한 달)만 약 150억 달러(한화약 17조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화요일 밝혔다. 이 제약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2백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전염병 통제를위한 노력으로 각국이 공급 계약을 서둘러 체결함에 따라 2021년에20억회 분의 백신 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화이자 사는 1월 31일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6,500만회 분의 백신을 공급했고 그 중 2,900만회 분을미국에 공급했다. 5월 말까지 미국 정부에 2억 회분을 공급할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월 1일 현재 화이자사와 모더나의 백신을 총 5000만 회분 미만으로 배포했다고말했다. CDC 데이터에 따르면 약 3200만 개가투여됐고 그 중 1700만 개는 화이자 백신이었다. 이 백신은 미국과 몇몇 다른 나라에서 긴급 사용 허가를 받은 최초의 백신 중 하나로, 분석가들은 수백 억 달러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4/4분
2021-02-02 23:14민주주의의 성지라는 미국에서 인기영합주의라고도 하는 <우파 포퓰리즘>을 등에 업고 요란하게 등극했던 트럼프가, 결국 나라를 완전히 두 동강낸 채 사라졌다. 우리나라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어디까지가 민주주의고 어디서부터 포퓰리즘인지, 명확한 구분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국 정치학계 최고 지성이라는 하비 맨스필드(Harvey Mansfield) 교수에게서 "민주주의와 포퓰리즘(Democracy and populism, 1995)"에 관한 지혜를 구해보자. --------------------------------------------------------------- 미국 헌법의 성공에 대해서는 자주 언급된다. 그러나 이를 설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헌법 작성은 어렵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짜 어려운 것은 헌법을 지키게 만드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정부의 힘은 어떻게 제한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엘리트들이 그들의 지위를 남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까? 이는 일상적인 질문이며, 보편적인 대답은 헌법 자체가 더 많은 민주주의를 허용한다면 거기에 복종하리라는 것이다. 하지만 민주주의가 정권을 잡으면 어떻게 될까? 그것이 불러올 위험에는
2021-01-30 08:35지난 19일, 파키스탄의 살만 셰이크(Salman Rafi Sheikh) 국제관계 애널리스트는 NEO(신동방전망) 칼럼을 통해 비교적 냉정한 현실 분석을 바탕으로, 미국의 대 중국 압박 정책 중 하나인 "아시아 피벗 2.0"이 전통적인 역내 동맹국들의 비협조로인해 난항을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이미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대한 번복 의사를 분명히했다. 새 정권은 구 정권의 전반적인 흐름을 뒤집을 준비가 돼있다. 국내정책 뿐 아니라 대외 관계도 마찬가지다. 트럼프 시대 워싱턴의 글로벌 '무역전쟁’ 타겟은 중국이었다. 민주당도 트럼프의전술을 비판한 것일 뿐 전쟁 자체는 아니었다. 원칙적으로 미국이 중국에 대항할 필요가 있다는 데는 동의했다. 따라서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의 부상을 타개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들고 나왔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그러나 이 새로운 전략은 실제로 전혀 '새롭지않다.’ 이는 단지 오바마 시대 “아시아 중심주의(Pivot to Asia, 이하 아시아 피벗)" 정책으로회귀하는 것일 뿐,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자리매김방식 변화가 관건인 것이다. 과거 미국은 이 지역에 해군 배치를 강화하며
2021-01-21 22:25“트럼프 대통령의 몰락 원인은 SNS 통한 정보전(Information War)에서의패배였다.” 지난 17일 러시아 NEO(신동방전망)는최신 칼럼 “미 대통령 권좌에서 몰아낸 정보전쟁(InformationWar Dethrones US President)”을 통해 트럼프가 대중과의 유일한 소통창구라며 사랑해 마지 않던 트위터로부터 계정을차단당하고 대통령 자리까지 뺏겼다고 일갈했다. 칼럼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라는 미국 대통령을 몰락시킨 주범은, 서방의 反러시아 선동가들 주장과는 달리,러시아 정부가 아닌 미국 본토에서 자체 개발한 디지털 플랫폼이라는 것이다. 최근 미국에서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사태가 보여주는 바는, 바로 “선거에서이기려면 정보 싸움에서 이겨라” 이다. 즉, 선거 승리를 위해서 과거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겨졌던 정치가의 전문성이나 인격적 소양은 더 이상 별로 중요하지않게 됐으며, 오히려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는 잘 가공· 포장하고 정적들의 약점은 확대· 왜곡시켜 빠르게 유포시킬 수 있는 정보 처리 능력이 당선을 좌우하게됐다고 칼럼은 쓰고 있다. 사실 트럼프는SNS로 정권을 창출 유지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16년선거 유세 시작부터 유튜브와
2021-01-19 22:52미국 대선이 끝난 지도 벌써 두달이 넘었다. 1월 20일이 되면 새로운 대통령이 취임식 연단에 오르게 된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까지도 "누가 진정한 미국의 제 46대 대통령인가?" 라는 질문에 즉답을 피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분명 트럼프 현 대통령의 애매모호한 태도와 시시각각 들려오는 경천동지할 가십성 뉴스들 때문이다. 트럼프의 진짜 의도와 목적, 명분에 대해 셀 수도 없이 많은 추측들이 모든 매체들을 도배하고 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본인이 아니면 아무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계속 의문만 갖다가는 온 세상이 돌아버릴 지경까지 이르렀다. 그에 대해 제대로 파헤쳐 봐야겠다. 지난 2019년 11월 15일, 헝가리정부에서 운영하는 정치학술매체 『ORIENTAL REVIEW. org』는 가짜뉴스, 전쟁과 거짓말,과거 250년의 진짜 역사에 관한 저서"Deprogr@mming"의 저자이자 다큐멘터리 감독 겸 프랑스 언론인 SylvainLaforest의 칼럼 "About Trump"를 게재했다. 다음은 ORIENTAL REVIEW의 발간 취지에 따라 본 칼럼을 완역해서 공개한다. -----------------------------------
2021-01-16 01:01미국의 대표적 극우성향 독립매체인 "Natural News(내츄럴 뉴스)"는 지난 4일 지난번 1차 COVID 19 접종 후 일주일도 안돼 양성반응을 일으킨 미국의 한 간호사를 예로 들며 충분한 임상 실험을 통한 확신도 없이 급조된 백신에 대한 의구심 가득한 지적을 쏟아냈다. 지난 12월 29일, 2회 접종이 한 세트인 화이자의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중 첫 번째 접종을 받은 샌디에이고의 한 간호사가 며칠 만에 이 신종 바이러스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샌디에고 지역 방송국 KGTV의 프라임 타임 뉴스 ABC 10이 보도한 바 있다. 두 군데 캘리포니아 병원 응급실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 매튜 W.씨는 12월 18일, 1차 화이자 백신 주사를 맞았다고, 접종 당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그의 게시물에서 매튜씨는 팔이 아픈 것 말고는 몸이 괜찮으며 눈에 띄는 다른 부작용을 겪지 않았다고 했다. 하지만 6일 후인 크리스마스 이브에 COVID-19 병동에서 교대 근무를 끝낸 45세의 매튜씨는 몸살 증상을 겪는다. 처음에는 오한이 났고 나중에는 근육통과 피로로 번졌다. 이틀 뒤인 크리스마스 다음날, 매튜는 드라이브 스루 검사소로 향했다. 검사 결과, 코로나 19 바이러
2021-01-05 15:44세상 돌아가는 일에 무심하기는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만큼 지식이 없거나 문제가 없었다. 9.11 같이 기함할 사건이 터져도 그 뒤에 감춰둔 진실을 적극적으로 파고드는 미국인은 많지 않았다. 약자의 자유도 보호 받아야 한다는 기독교 정신에 기반한 자연법 원칙은 철저히 악용됐다. 불법 이민자들과 게이들을 선량한 피해자로 둔갑시켰다. 오바마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대통령으로 등극했다. 그 와중에도 비약적인 첨단 기술의 발전은 계속됐다. 페이스북과 유튜브, 트위터라는 기상 천외한 의사소통 플랫폼들이 출현했다. 여기에는 주류 언론들의 일사불란한 이해관계나 계급 지배는 끼어들기 힘들었다. 이런 SNS를 통해 퍼진, 미국 서민들의 팍팍해진 삶의 원인이 개인의 무능이 아닌 워싱턴 정가의 더러운 세계화 야합 때문이었다는 의혹은음모론으로 치부해버릴 수 없게 됐다. 화가 난 미국 서민들은 "격조"라고는 눈을 씻고도 찾아볼 수 없던양아치 트럼프에게 정권을 던져줬다. 딥 스테이트와 거대 글로벌리스트들을 고발하던 트럼프는 중국에게 관세라는핵펀치를 날렸다. 평생 장로교 신자라면서, “잘못을저지르지 않으려 애쓰기 때문에 회개는 할 필요가 없었다”는 그는 우파 포퓰리즘,
2021-01-02 18:18Korea-US History & Culture Research Institute (Inc.) is Global Defense news's Company name. First time, Global Defense News's company name is Global Defense Watch, but Now it was changed. Korea-US History & Culture Research Institute's website address is http://gdnews.kr/ and E-amil is gdwatch21@gamil.com.
2020-12-08 01:02“미국 메인주 항구에다 북한 어선들이 부정투표용지를 풀었다.” 美 Newsweek지가 지난 2일, 대선 부정투표용지가 다름아닌 북한 선박에 의해 배달된 반박할 수 없는 증거를 직접 확인했다는, 전 트럼프 비선참모 로저 스톤(Roger Stone)의 증거 없는 주장에 대해 보도했다. 알렉스 존스 쇼에 출연한 그는 "북한 선박들이 메인주의 한 항구를 통해 투표용지를 실어 날랐다는 명백한 증거를 방금 직접 확인했다"며 "만약 이것이 확인된다면, 즉 법 집행기관이 조사해 그것이 사실로 판명 나면, 외국의 선거개입 증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지난 2018년 12월 11일, 실리콘밸리 내 '바이어스' 관련 워싱턴 의회 청문회에 참석한 알렉스 존스(오른쪽에 서있는)와 그 왼쪽에 서 있는 로저 스톤. 이들은 함께 구글은 사악하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사진=게티 이미지/ 알렉스 웡 스톤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해온 대선 “사이버 조작”설도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에 진행자 알렉스 존스는 “도미니언 투표 시스템을 통한 사이버 조작이 있었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부정선거의 배후가 북한이라기 보다는 중국”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조 바이든의 승리가 표적 사기행위 때문이라
2020-12-07 23:43테드로스 사무총장은 지난 1월 말,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접견했다. 당시 대부분의 감염이 중국 국내에 국한된 상태긴했지만, 점차 그 속도는 빨라지고 있었다. 그 둘은 인민대회당의한가로운 전원풍경의 벽화장식 앞에 앉아 합의를 도출해냈다. 테드로스 박사는 시 주석의 로비를 위해 베이징으로 달려갔다. 국제전문가들로 구성된 대규모 조사팀 파견에 대한 승인을 위해서 였다. 이미 일단의 소규모 WHO 팀이 일주일 전 우한으로 향했다. 하지만 우한의 화난 시장이나전염병을 다루는 대형병원에는 들어가보지도 못했던 것이다. 시 주석은 중국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말에 난색(難色)을 표했다. 대신 WHO 팀이상황을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침착하게, 이성적으로” 평가하도록허용하는 데에는 동의했다. 현지 언론은, 시 주석이"코로나바이러스는 악마다. 악마가 숨어있게 놔둘 수는 없다"는 말을 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합의는 테드로스 사무총장에게 매우 중요했다. 그전(前)주에 모인 자문위(諮問委)에서 그는 국제비상사태 선포에 반대했다. 그러나, 외교 및 보건 관계자들에 의하면, 자문위원회의 1월 23일결정이 명백하게 중국이 벌인 치열한 로비의 결과물이라는 사실은 여론에 알려지지
2020-11-27 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