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는 중국군 발전에 대한 연례보고서를 통해 미 국방부 및 업체 네트워크에 침입하려는 중국의 사이버공격 가능성에 경각심을 높일 것을 촉구하였다.미 국방부는 최근 잦은 네트워크 침입시도의 배후로 중국을 지목한 바 있다.지난 5년 동안 미국은 사이버 공격 및 위협과 관련하여 특정 국가의 행위주체 거명을 지양해 왔으나, 이제는 네트워크 보안침입에 있어 개별 국가를 직접적으로 지목한 것은 이례적이다.중국의 침입 시도 중 거의 대부분은 기술데이터 획득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미 국방부는 2015년에 처음으로 미 수송사령부 계약업체들을 대상으로 보안침입이 발생했다고 언급했다. 미 국방부에 따르면, 네트워크 무단접속을 통한 데이터 절도 행위는 보유 기술에 대한 위협은 물론 나아가 분쟁이 발발할경우 잠재적으로 군사적 위협을 야기한다.러시아도 미 정부 네트워크와 군 장비를 사용하는 계약업체네트워크에 대한 주요 공격 근원지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상황이다.참고로 중국과 러시아는 사이버 공간에서 상대방을 공격하지 않는다는 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2015-05-15 17:07미 회계감사원(GAO)은 미래 미 해군의 항공모함 기반 전투 드론의 역할이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해군 지도자들이 미래 항모운용 무인 감시/전투기(UCLASS) 사업의 장기적인 비용에대해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접전 정도가 약한 환경에서 제한된 타격과 함께 감시임무를 수행할 것인지, 심한 접전환경에서 제한된감시와 함께 타격임무를 수행할 것인지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미 의회는 UCLASS 무인항공기가 적의 방어망에 대해 충분히 무장이 되고 생존성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우려를 제기하였다.미 해군은 항공모함의 정보·감시·정찰·표적획득·타격능력을강화하기 위해 UCLASS 무인항공기 개발 사업에 2020년까지 최소한 30억 달러를 지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 해군은2013년 8월에 예비설계안을 개발하였고 2014년 5월에 평가가 실시되고개발계약은 2017년에 체결할 예상이이다.전문가들은 첫 번째 UCLASS 무인항공기를 갖춘 항공모함이 2022년에 실전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용어설명※ UCLASS : Unmanned Carrier-Launched Airborne Surveillance and Strike syste
2015-05-14 14:44미 해군연구처는 대함미사일·공격정·무인항공기 등으로부터 수상전함을 방호하기 위해 함정탑재전자광학식 방어체계 개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통합 전자광학/적외선 감시·대응체계(CESARS) 사업은종합적인 방어능력을 위해 함정탑재 파노라마식 EO/IR 표적지시·감시체계(SPECSS) 및대(對)첨단위협 다중 스펙트럼 EO/IR 대응책(MEIRCAT) 등 2개 연구사업을 통합하는 것이다.SPECSS에는 강화된 EO/IR 대응책과 상황인식 능력이 포함하고,MEIRCAT는 표적 재획득, 추적, 분류, 식별, 3-D 거리측정, 위협평가, 대응책 등을 수행한다.CESARS 사업은 모듈식, 개방형 체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아키텍처를 사용하며, 다양한 플랫폼에 맞게 조정이 가능하다.용어설명※ CESARS : Combined EO/IR Surveillance and Response System※ SPECSS : Shipboard Panoramic EO/IR Cueing and Surveillance System※ MEIRCAT : Multispectral EO/IR Countermeasures for Advanced Threats
2015-05-11 16:34미 엑셀리스사와 L-3사가 미 공군 특수작전사령부(AFSOC)의 AC/MC-130J 코만도(Commando) II항공기에 대한 전자전 자체 방호능력 개발을 위해 협력관계를 체결했다.진화하는 무선주파수 위협에 대응하여 AFSOC 운용요원들을 위한 첨단·저위험 솔루션을 개발할 예정이다.엑셀리스사는 다수의 AFSOC 플랫폼에 EW 솔루션을 제공했으며, L-3사는 50년 이상 C-130 체계 통합업체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양사는 1990년대 이래 특수임무용 항공기에 대한 EW 기술 사업 분야에서 협력해 왔다.L-3사의 C-130 관련 지식과 엑셀리스사의 최신 EW기술을 결합하여 임무지원 능력을 신속히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양사가 축적해온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여 변화하는 EW 환경에서임무 성공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설립한 것이다.용어설명※ AFSOC : Air Force Special Operations Command
2015-05-11 15:41미 해군은 연안전투함(LCS) 이후 차기 호위함의 설계와 요구조건을 2016년 10월까지 확정하고2015년 중반에 공통전투체계를 결정하는 등의 추진계획을 확정하였다고 밝혔다.차기 호위함은 2척이 계약될 예정이며, 2019 회계연도부터 진행될 계획이다. 미 해군은 차기 호위함이 기존 연안전투함을 기본으로 하고 대잠전 및 대수상전 능력을 갖추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함정의 무거운 중량과 과도한 탑재시스템에 대한 비판을 받아온 LCS의 사례를 교훈삼아 함정 중량을 줄이면서 좀 더 많은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기뢰대응책 임무 패키지 탑재도 재검토할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대잠·대수상전과 기뢰대응책 등 3가지 임무 수행을 목적으로 설계된 LCS의 일부를 변경할 것이며, 만일 기뢰대응책 시스템이 제외되면 원격조종다중임무 무인잠수정(RMMS)도 탑재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새롭게 추진될 연안전투함은 미사일 시스템과 자체방어시스템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연안전투함 2가지 모델의 공통부분을 최대로적용하면서 단일 전투체계에 단일 레이더를 통합·적용한다는 계획이다.그밖에 크레인과 무거운 구조물, 지원 장비들을 설치목록에서 제외할 경우
2015-05-05 15:17미 해군은 MQ-4C 트라이톤(Triton) 무인항공기가 신형 탐색 레이더를 장착하고 초도비행을 실시하였다고 밝혔다. 이 무인항공기에 탑재된다기능 능동센서(MFAS) 레이더는 넓은 지역에 대한 360° 시야를 제공함으로써 해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공중에서 해상을 추적할 시에는 해면이 거대한 반사거울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레이더파를 반사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해역을 정찰기의 레이더로 감시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으나, MQ-4C의 성능이 검증되면서 고고도에서 광범위한 해역에 대해서 장시간 정찰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MQ-4C UAS는 MFAS 레이더와 함께 정지 영상 및 완전 동영상 비디오를 제공하는 EO/IR 센서, 레이더 위협 신호를 식별하고 지리적위치를 결정하는 전자지원책 패키지, 함정을 탐지·추적하는 자동식별체계 등을 탑재하고 있다고 밝혔다. 용어설명 ※ MSS : Maritime Surface Surveillance
2015-05-05 14:00미군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국가 방어 태세는 잘 갖추어져 있으나, 아직까지 디지털 전쟁을 수행할준비는 되어있지 않다고 고위 국방부 관계자가 밝혔다.2009년에 창설된 사이버사령부는 공세적인 사이버작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인프라 구축이 미흡하다고 언급하였다.종전에 미군이 공세적인 디지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해왔기 때문에 이러한 논평은 이례적인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애쉬튼 카터 미 국방장관은 군을 위한 새로운 사이버전략 검토와 사이버사령부에 보다 많은 투자를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발표하였다.공세적 디지털 작전을 준비하면서, 전쟁법을 준수하고 민간인 사상자 발생을 예방하는 방향으로 사이버 전력을 구축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례로는2010년 이란 핵 사업 와해를 목적으로 유포된 스턱스넷(Stuxnet)웜 바이러스를 들 수 있다.미 사이버사령부는 군을 지원하기 위해 약 6,000명의 인력육성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런 조직을 2016년까지 구축하고자 하였으나, 2018년까지 달성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태이다.
2015-04-30 12:25미 공군은 레이시온사와 초소형 공중발사 기만 재머(MALD-J)에 대한 운용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고 밝혔다.MALD-J는 지난 2년간 비행시험을 42회나 성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성능이 입증되었으며최초운용능력(IOC) 달성을 위한 요구조건을 모두 충족시켰다고 밝혔다.MALD-J는 전자장비 재밍 시, 조종사와 항공기가 위험지역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재래식 전자전체계보다 적 레이더에 훨씬 더 가까이 접근하여 작동할 수 있다. 이장비는 단독 또는 쌍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다른 전자전 플랫폼과 연동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라고 밝혔다.MALD는 우군 항공기의 비행 프로파일 및 레이더 신호를 복제함으로써 적 방공체계를 교란시켜 아군항공기와 승무원을 보호하게 되는데,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공중에서 발사가 가능한 첨단기술의 비행체라고 밝혔다. 이 기만체의 중량은300lbs 미만이며, 거리는 약 500해리이다.MALD-J는 MALD의 모든 능력을 유지하면서 재밍 능력을 추가한 것이며, 2012년가을부터 납품이 시작되고 있다. 용어설명 ※ MALD-J : Miniature Air Launched Decoy-Jammer
2015-04-23 14:52미국 정부는 F-35 Lightning II 합동타격전투기(Joint Strike Fighter)에 전자전 능력을 향상시킬 신형포드를 탑재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전자전 분야는 적 레이더 교란을 통하여 기체가 적의 레이더에 포착되는 것을 막는 능력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현재 미국 정부가 검토중인 신형 전자전 능력은 적 무기체계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미국 정부가 구상중인 전자전 능력 향상이 실현된다면 적 기체끼리 교전을 벌이게 하거나, 충돌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전략시물레이션 게임에서나 나올 법한 기능들을 미 정부가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검토에 들어간 것이어서 향후 전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2015-04-23 14:38미 육군은 발사체에서 발사되는 각각의 자탄이 무선통신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는 집속탄을 특허등록하였다고 밝혔다. 네트워크화된 자탄을 집속탄으로 사용하면 2008년 체결한 집속탄 금지협약에 의한 제한 사항 중 일부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발사체에서 발사된 네트워크화된 자탄들은 센서를 장착하고 있어 자탄 간에 상호 무선링크가 가능하여 각자 입력된 위치에 투하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이런 기능을 통해서 자탄의 현위치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투하 위치가 당초 계획과 다르거나 오류가 발생하였을 시 자탄의 기능을 해제하거나 자폭시켜 아군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15-04-20 11:22미 해군이 SAS 2015 전시회에서 MkVI 최신 경비정을 공개하였다. 이 보트는 방호장갑이 추가되었으며, 주갑판실은 가변구조형과 모듈형식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최대속력은 40노트 이상이며 원격조종 시스템과 MK 38 Mod 2 기관총시스템 등이 탑재되어 있다.항속거리는 600마일이며, 추진시스템은 독일 MTU 사의 16V2000 M94 엔진과 헤밀톤 HM651 워터젯 2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선박은 LPD 및 LHD급 상륙함에서도 전개가 가능해 기함 경비 및 연안작전 등의 임무에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5-04-20 10:42미 텍스트론사는 미 육군 및 해병대에 신형 RQ-7B 섀도(Shadow)전술 무인항공기 및 지상통제체제를 제공하는 계약을 7,950만 달러에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사출기 발사형 섀도 200 전술 무인항공체계는 육군 및 해병대 여단 지휘관들에게 78마일(약 144km) 밖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도와주며 야간에도 8.000피트(약2.4km) 상공에서 전술 차량을 인식할 수 있는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이 무인항공기는 공압식 사출장치로 발사를 하며 사출기를 트럭에 탑재하고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이동이 용이하며, 회수 시에는 항공모함용 제동장치를 이용하여 회수한다. 적외선 카메리가 탑재되어 있으며,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다. 이 무인기는 길이 11ft, 날개 폭 14ft, 무게는 375lbs이며, 15,000ft 고도에서 110kts의 속도로 비행이 가능하며 6시간 이상 비행이 가능하다.
2015-04-20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