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육군은 경로계획·지형분석용 지상유도(GG) 소프트웨어를 안드로이드 전술공격 키트(ATAK) 앱에통합하여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소프트웨어는 탑승·하차 병사를 위해 지형, 기상, 적 활동 및 장비 하중량을 고려한 일반도로 및 험로 경로계획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GG 소프트웨어를 ATAK와 같은 앱에 통합할 경우, 목표에 이르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경로를 계획하고 병사 이동 시 속도나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할 수 있게 된다.GG 소프트웨어 통합을 통해 신속한 계획 수정이 가능해지고, 심층적인 방책 분석을 촉진하는 등 임무효율성 증대가 기대된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거리, 소요시간, 에너지 소모, 소모 열량 등과 같은 경로 제원의 정확성검증도 가능하게 된다. GG 소프트웨어는 빠르게 변화하는 전장 조건에서 소규모 전투팀이 자율적으로 민첩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GG 소프트웨어는 네트워리어, 구글어스 등과 같은 플랫폼에 통합되었고, 제너럴 다이나믹스사, 록히드마틴사 등 주요 방산업체들과 관련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용어설명 ※ GG : Ground Guidance※ ATAK : Android Tactical Assault Kit
2015-08-25 13:57미 육군은 록히드마틴사가 신규 생산한 M270 MLRS 다연장로켓 시스템의 사격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의 목적은 장갑재로 보호되는 새로운 장착장비(Platform)가 대규모 사격과 적 포격을 피해 회피기동을할 때의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점검하는 것이다. 이 시험에서 138발의 로켓이 발사되었으며, 장비의 설계 한계까지 운용되었다.시험장소인 뉴멕시코 주의 화이트샌즈 미사일 시험장은 온도변화가 심하고, 먼지가 많으며, 험지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번 시험의 적지로 선정되었다. M270 다연장로켓은 1983년 배치가 시작되었고, 2002년부터 M270A1으로개량이 착수되었다. M270 MLRS는 자주식 자동장전식 로켓발사 장비로서 6연장 포드 2개를 차량에 탑재한다. 탄종별로 유효사거리 32~120km, ATACMS의 사거리는 165~300km이며40초 내에 12발 사격이 가능하다. M270A1 개량은 새로운 사통장비, GPS와 관성항법장비 내장, 기계장비의 개량등을 포함하여 사격시간을 83%로 단축하게 된다. 용어설명 ※ ATACMS : Army TACtical Missile System
2015-08-24 00:30미국이 현재 진행 중인 이집트에 대한 안보지원계획의 일환으로 주력전차(MBT) M1A1 에이브람스 포탑 5대를 카이로 동부 공군기지에 인도했으며, 8월에 14대를 추가적으로 인도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포탑은 미국에서 직접 제작, 공수되어 미국-이집트 M1A1 전차 공동생산을 위해 설립된 이집트 전차 공장에 인도되었다.전차 생산이 계속됨에 따라 포탑이 추가 인도되며, 후속지원·정비·훈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집트에서 공동 생산되는 M1A1 전차는 이집트 국민과 군에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고 안보 능력증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했다. 포탑 인도로 생산공장에 있는 약 2,000명의 이집트인들이작업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게 된다. 미국은 2015년에 이집트가 여러 전선에서 테러에 대응할 수 있도록안보 및 군사적 노력에 13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하였다.
2015-08-24 00:24미 해군의 NRL은 최근 수면에 착륙하고 잠수하는 무인기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Flimmer’ 로 명명된 이 무인기는 일반 무인기와는 다른 위치에 센서들을 장착하게 된다. 이 수륙양용 무인기는 적 잠수함, 화학물질, 유출된 기름 등을 찾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항공기의 공력학과 잠수함의 유체역학이라는 상반된 요구조건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설계를 위하여, 양력·부력, 중량, 동체구조 등 여러 가지 기술적 특성이 균형을 이루도록 연구하는 것이 관건이었다.비행과 잠수 항해는 기술적으로 많은 공통점이 있어 단일형상의 적용이 가능하다. 항공기의 동체 형상과, 에일러론, 승강타, 방향타 등의 조종면은공기중과 수중에서 동일한 기능으로 작동 가능하여 동일한 조종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시험에서 무인기는 1,000ft 상공에서 낙하되어, 수면에서50kts의 속도로 수면 항해하고, 잠수 후 10kts의 속도로 목표에접근하였다. 용어설명 ※ NRL : Naval Research Laboratory※ UUV : Unmanned Underwater Vehicle
2015-08-24 00:08미국 DARPA는 XS-1 우주발사 비행선 개발의 1A 단계인 개념 설계를 완료하고, 2017년 시험비행을목표로 하는 1B 단계 개발에 착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XS-1 비행선은 우주발사체(Space Launcher)의 1단계 발사로켓 역할을 하며, 2단계 로켓(Upper Stage)및 위성/우주비행체(Payload)를 우주에서 발사하고 지상으로 귀환하는 왕복선이다.1A 단계에서 보잉사 등 3개 업체가 각각 기본 설계를 완료하였고, 1B 단계에서는 보잉사 단독으로 실비행체를 설계 제작하며, 이후 2017년 비행시험과 2018년 우주선의 지구궤도 발사 실험을 할계획이다.XS-1 개발사업은 우주선 발사의 비용을 1/10 수준으로 절감하기 위한 실험개발 과제이다.DARPA는 1980년대 X-30, 1990년대 X-33, 2000년대 SR-71 Black Bird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으나기술 미성숙으로 실패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의 목표는 1회 발사비용을 1/10 이하로 절감(5백만 달러 이하), 10일 10회 발사비행가능, 1,800kg의 우주비행체(Payload)의 지구궤도 진입, 최고비행속도마하 10 이상 등의 개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2015-08-18 13:50미 육군이 순항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레이시온사의 FIM-92 스팅어 미사일을 기반으로 하는 방공체계 관련 정보요청서를 8월 4일 발표하였다. 스팅어 미사일은 단거리용 발사 후 망각 방식으로, 견착발사식 휴대형 방공체계이다. 이 미사일은 4.5km 이내에 있는 저공비행 UAV, 헬기, 고정익 항공기에 의한 공격 또는 관측에 대응하여지상부대를 방어하도록 설계되었다.충격신관을 장착한 고폭·충돌파괴(Hit-to-Kill) 탄두를 사용하며, 지상차량·UAV·헬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발사가 가능하다. 스팅어 미사일은 1981년에 처음으로 운용된 이래, 현재는 첨단FIM-92E 스팅어 블록 1 형상으로 운용 중이다. FIM-92E 블록 2 형상은 적외선/자외선 탐색기를 개선하여 노출신호 특성이적은 순항미사일을 격퇴할 수 있으나, 2000년에 EMD 단계가 시작된지 얼마되지 않아 보류된 바 있다. 미 육군은 순항미사일 방어체계 개발과 관련하여 스팅어 미사일을 지원하는 엔지니어링 서비스 제공능력을 구비한 업체를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5-08-18 13:31미 해군은 BAE사와 Mk 45 함포 10문의 성능개량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계약에 따라 BAE는 Mk 45 Mod 1과 Mod 2 함포를 Mod 4 형상으로 개량하여 제작할 예정이다. 구형 포의 설치대(Gun Mount)를 분해 후 정비하여 재사용하고, 새로운 포신과 Mod 4 전용 부품을 장착할 예정이다. 개량된 포는 신규 건조되는 Arleigh Burke급의 유도미사일함 구축함과 성능개량되는 Ticonderoga급유도미사일 순양함에 탑재하게 된다.Mk 45 함포는 차후 개발될 사거리 연장 유도탄(guided munition)을 사용하기 위해 개량된 것이다. 이번 개량에서는 5 ″/54 cal의 포신이 5 ″/62 cal의 포신으로 교체되며, 강도가 보강되고, 설치대 부체계, 사통체계 향상, 형상의 축소, 건쉴드(Gun Shield) 정비소요감소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유효 사거리가 24.1km에서 37km로 12km 증가하게 된다. Caliber(cal)은 포 구경의 크기를 뜻하며 Mk 45 Mod 4 5 ″/62 cal는구경이 5인치이며 포신의 길이(탄의 강내 이동거리)가구경의 62배라는 의미이다.
2015-08-18 13:24이탈리아의 KC-767A 공중급유기가 미국의 F-35A 전투기를 대상으로 비행 중 급유시험을 완료하였다. 미국의 에드워드 공군기지 상공에서 미 공군의 F-35(AF-04)에 비행 중 25회의 급유관 연결과 16,000lbs의 급유를 실시하였다고 미 공군 관계자가 밝혔다. 이번 급유시험은 미국 국적기에 대한 외국 급유기의 첫 공중급유 인증을 위한 시험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이번 인증으로 이탈리아는 자국의 F-35 전투기뿐 아니라 외국의 동 기종 급유 지원 능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자국의 생산시설에서 F-35A 전투기를 생산하며, 첫 비행기에 대한 시험을 준비 중에 있다. 이탈리아 군은 F-35A 60대와 F-35B 30대를 획득하여 기존의 Tornado, AMX, AV-8 Harrier를 대체운용할 계획이다. KC-767A는 미국 보잉사에서 생산된 공중급유기로, 이탈리아공군이 4대를 운용 중에 있다. 연료 적재량 160,660lbs, 최대속도 마하 0.86, 항속거리 6,385 마일의 성능으로 세계 전 지역 급유지원이 가능하다.
2015-08-17 09:44미 해군은 연안전투함에 지속적인 장거리 ISR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MQ-8C 파이어 스카우트(FireScout) 회전익 무인항공기용 해상감시 레이더(MSR)를 구매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MQ-8C MSR 계약업체는 노드롭그루먼사 및 레이시온사이고, 생산은 2020년까지 지속될 예정이다. MSR의 요구 능력에는 수상함정 탐색·탐지·감시·추적, 수상함정 분류를 위한 역합성개구영상, 다중해상도를 이용한 합성개구영상 및 표적획득 등이 포함되어 있다.'단거리 탐색모드'는 3해리에서 30해리 구역을 스캔하고, 최소 500개의 수상표적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장거리 탐색 모드'는 25해리에서 100해리 범위까지 운용이 가능해야 한다. MSR 안테나는 최대 직경 30인치, 높이 12인치인 동체하부 설치레이돔에 장착된다. 송·수신장치, 데이터 처리장치 및 기타 구성품 설치를 위해 내부에공간이 할당되고, 총중량은 68kg을 초과하지 않을 예정이다. MQ-8C는 2014년 말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에서 비행시험을 실시하였으며, 2017년1/4분기에 초도운용시험평가를 실시할 예정이고 총 40대를 구매할 계획으로 알려지고 있다. 용어설명 ※ MSR : Maritime Sea
2015-08-17 09:28미 해병대가 팰콘(Falcon) III AN/PRC-117G 다중대역 네트워크 개인휴대형 무전기 공급과 관련하여해리스사와 3,6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였다. 팰콘 III 무전기는 소형·경량 설계로 비디오 스트리밍, 음성·데이터 동시 전송, 기타 상황인식 능력을 위해고대역폭 통신을 제공한다. 팰콘 III 무전기를 통해 해병대 지휘관들이 미래 우발작전 시 실시간 정보에 접속할 수 있고, 분대급까지 음성·데이터 연결이확장·강화된다.AN/PRC-117G 무전기는 단일 채널 음성·데이터 무전기로서 30MHz~2GHz 범위의 주파수에서 운용할 수 있다. 무전기는 개인휴대, 차량설치 및 기지운용 등 다양한 목적에 맞게 운용이 가능하다. 단일 채널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전송과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음성 통신인 VoIP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에는 파일 전송, 채팅, 비디오 스트리밍 및 위치정보보고 등이포함되어 있다.
2015-08-17 09:21미 해군과 레이시온사가 토마호크 블록 IV 순항미사일용 신형 임무계획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사격요청 시 더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새로운 능력은 유도미사일 탑재 순양함인 미 해군 안지오함에서 비행시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이 시험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량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요소에 대한 유효성을 시연하였다.소프트웨어 개량으로 임무계획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어, 긴급한 타격요구에 따라 신속하게 표적을 지정한 후 발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토마호크 미사일의 임무계획 소프트웨어는 5년 만에 처음으로 개량되었으며, 시험 임무를 수행한 미사일은 표적을 직접 타격하였다. 토마호크 미사일은 1983년부터 운용 중인 순항미사일로, 중량 1,600kg,길이 6.25m, 직경 0.52m이다. 아음속으로 비행하며, 사거리는 블록 Ⅳ의 경우 1,700km이다.
2015-08-13 15:49미 해군은 연안전투함(LCS)용으로 개조한 헬파이어 미사일에 대한 엔지니어링 개발시험을 6월에성공했다고 7월 30일 보도하였다.함대함 미사일 모듈(SSMM)로 명명된 개조형 롱보우 헬파이어 미사일체계는 2017년 후반에 LCS에 통합될 예정이다.SSMM은 6월 중순에 버지니아 연안에서 실시한 시험에서 소형 보트 표적 파괴에 성공하였다.미사일은 8개 표적 중 7개 표적을 파괴시켰으며, 1개 표적은 미사일 능력과는 무관한 표적 문제 때문에실패하였다. 시험 중에 최소사거리 및 최대사거리에서 표적을 타격하는 것뿐만아니라, 정지표적 및 ‘S’자 형태 기동표적을 공격하였다. 특히, 연속발사한 미사일 3발은 각각에 할당된 표적을 타격하였다. AGM-114 계열 공대지 헬파이어 미사일 중에서 AH-64D 아파치 롱보우 헬기용으로 개발된 AGM-114L을 롱보우 헬파이어 미사일이라고 하며, 1998년부터운용 중이다. 밀리미터파 RF탐색기를 장착하고, 비행속도는 마하 1.3이며, 최대사거리는 8km이다. 용어설명 ※ LCS : Littoral Combat ShipSSMM : Surface-to-Surface Missile Module
2015-08-09 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