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육군은 강력한 전자기 펄스를 이용하여 적의 전자장비, 주요 기반시설, 컴퓨터 기반체계 등을 무력화시키는 포탄용EMP( Electro-Magnetic Pulse)탄을 개발하고 있다.이미 보잉사가 CHAMP라는 EMP 미사일을 개발하여 2015년에 공군에 납품하였으나, 155mm 포탄용 EMP 무기는더욱 소형으로 개발될 예정이다.마이크로 전자장비와 전력 기술의 발전으로 포탄에서도 전자기 펄스 공격이 가능하다. 1단계 계발로는 처음에는 155mm 탄체에 맞게 설계하고, 이후 더 많은 EMP 자탄을 통합할 수 있도록 크기를 줄일 예정이다. 2단계에서 시제품을 더욱 성숙시켜 적절한 탄에 통합하고, 첨단 EMP 공격기법과 시험방법을 개발하여 체계 성능을 평가하고,3단계는 실용화를 준비하고 상용화 계획을 발전시켜 전자장비 하부체계를 업계와 관련 사용자에게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소형 EMP탄은 표적에 근접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저출력으로도 운용이 가능하며, 영향을받는 체계의 범위가 제한되고 전체적인 전자기 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된다. (CHAMP: Counter-electronics High-powered Microwave Advanced Missile Proj
2017-02-23 22:37미 해군은 수상함 및 잠수함 전투체계의 효율을 높이고 인력 소요를 줄이기 위해 기계 자율화 및 인공지능 기술을 필요로하고 있다. 이에미 해군 미래전투체계(CSoF: Combat System of the Future) 사업을 위해 ASSETT사와 후속 연구 계약을 체결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ASSETT사의 CSoF 사업 후속연구는 해군 잠수함, 수상함 및 항공기를 위한 운용자 인지, 자동화, 데이터 융합, 처리,진화 기술로 자율형 원격 지휘·통제 기능을 갖춘 향상된 전투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ASSETT사의 이름은 첨단 체계·지원·공학 기술 및 도구를 의미하는 ‘Advanced Systems/Supportability Engineering Technologies& Tools’에서 따왔다. ASSETT사는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소프트웨어 설계 및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해군 AN/BYG-1 잠수함 전술통제체계용기술을 개발하게 된다.AN/BYG-1 체계 개선은 새로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지휘·통제및 결정 지원을 향상시킨다.AN/BYG-1 체계는 미 해군 고속공격 잠수함, 순항미
2017-02-23 22:32미국 DARPA는 고정익 항공기 및 헬기에 필요한 승무원 수를 줄이기 위한 조종석 자동화키트 개발사업을 마무리하는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종에 상관없이 바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비행 자동화 체계 개발이 거의 완료된 단계인 것이다. 미 DARPA의 조종자동화체계(ALIAS) 사업 제3단계 및 최종단계를 위해 록히드마틴사 자회사 시코르스키사와 계약을 체결했다. ALIAS 사업 목표는 항공기에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한 키트를 제작, 항공기 부조종사 기능을 자동화하여 승무원 규모를 감소시키는 것이다.ALIAS 사업은 자동화를 강화한 항전장비를 개발함으로써 체계 성능 개선, 비용 감소, 새로운 임무 및 능력 발휘를 지원할 수 있다. ALIAS 사업은 광범위한 군용기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을 모색했는데,사업 3단계 종료시 진단 및 체계 고장 대응 능력을 포함하여 지휘운용 시험에서ALIAS 체계의 항공기 간 이식성을 시연 예정이다.새로운 형태의 항공기에 설치 시 최대 1개월, 기존 항공기에 설치 시 최대하루가 소요되는 ALIAS 조종석 자동화 키트가 개발되는 것이다. (자료 및 사진출처 :Bolt-on cockpit automation
2017-02-17 03:22미 해군은 항공기, 수상함, 잠수함, 지상차량에 탑재된 무전기 체계에 사용할 암호장비를 필요로 한다.미 우주해상전체계사령부(SPAWAR)는 군 전술 데이터 전송을 방호할 수 있는 차세대 암호장비를 개발하기 위해 레이시온사와계약을 체결했다. 레이시온사는 링크 22 전술무선체계에 강화된 보안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LLC 7M(Link Level Communication Security7M) 암호장비를 제공할 예정이다.링크 22는 해군의 기존 링크 11 무선체계를 대체하고 링크 16 체계와 상호운용성이 있으며, 위성 또는 공중 중계기의 지원 없이 장거리및 가시선 초월 통신을 제공한다. LLC 7M은 링크 22 네트워크를 통한 군사정보 송신을 방호하기 위해 미 국가안보국(NSA) 타입 1 암호장비에 대한 인증을 취득했다.LLC 7M 생산계약 체결, 링크 16 체계와의 통합 능력을 통해 링크 22 체계가본격적인 배치가 예상된다.LLC 7M은 견고하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장차 추가적인능력, 설계개선, 확장성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사진 및 자료출처 :Raytheon to provide NSA Type 1 encryption for Navy Link
2017-02-17 03:18미 해군은 GD-BIW사가 건조한 DDG 115 ‘USS Rafael Peralta’호의 수락시험을 완료했다. 미 해군은 2008년 차세대 줌왈트급 유도미사일 구축함 건조계획을 3대로 축소하고, 중단되었던 ‘알레이 버크(ArleighBurke)’급 구축함의 개량형인 Flight IIA 형상의 건조를 재개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Flight IIA 3척을 비롯하여 Flight IIA Technology Insertion 8척, Flight III 3척을 추가 전력화할 계획이다. 알레이 버크급 Flight IIA 모델은 추진체계, 미사일 발사체계, 전투체계, 헬기 격납고 추가 등 설계의 개선이 이루어졌다.크기 155×20m, 배수량 9,200톤, 최대속도 30kts, 항행거리 8,100km 이다.미사일 수직발사체계 Mk41 96셀을 함재하고 있어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을 비롯하여 RIM-66M SAM, RIM-161요격 미사일, RIM-162 ESSM, RUM-139 VL-ASROC, RIM-174 Standard ERAM 등의 미사일을 탑재한다.Ballistic Missile Defense 5.0 및 NIFC-CA를 통합한 IAMD 체계등이 포함된 록히드마틴사의 A
2017-02-17 03:17미국 육군이 호위로봇(robotic wingmen) 역할을 할 다수의 전투차량을 시연하고, 그 결과를 각각 2023년과 2035년에계획한 반자율 및 자율 호위로봇 추진등재사업에 반영할 예정이다.호위로봇에 대한 능력개발문서(Capabilities Development Document)는 2019년에 요구할 계획이다. 향후 25년 동안 병사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 인공지능, 무인체계에 대한 공통제어 능력을 점진적으로 제공하려는상위 전략의 일환으로 호위 로봇 분야 작업이 수행 중이다.아직까지는 로봇 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감독이 필요하나, 향후 마치 사냥꾼과 사냥개와의 관계처럼 임무 수행 시 전투원과함께 움직일 수 있는 무인체계로 개발할 계획이다. 육군은 퇴역 무장정찰헬기 OH-58 카이오와 워리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공격헬기 AH-64 아파치와 무인기 쉐도우 및 그레이이글의유·무인 항공팀을 이미 성공적으로 구성하였다.지상에서 무인차량과 유인차량을 팀으로 운용할 때는 정지해 있거나 이동하는 장애물 주변을 안전하게 주행하고 거친 지형을 극복해야 하는 등 어려움이많아, 현재와 미래 전장에서 이를 운용할 수 있는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많은연구와 실험을 실시하였다. 육
2017-02-11 16:42미국 코그니티브 시스템스사는 칩 내장 전자전(EW) 장치를 상용 무인항공기(UAV)에 탑재하여 운용 시험을 실시했다.현용 UAV가 월등한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려면 그에 맞는 최첨단 기술이 선행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규격·중량·전력(SWaP)의 저감과 실시간 무선주파수(RF) 감지 기능 도입 필요이 필요하다. 코그니티브 시스템스사의 칩 기반 EW 및 ISR 솔루션은 저(低) SWaP 제원을 구비하여 전장 내 병사에게손쉽게 EW 능력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 육군연구소(ARL)는 인지무선(Cognitive Radio)의 고유 기능에 대해 일련의시험을 통해 실시간 계측 부하량 처리, 우수한 성능 제공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인지무선(CR) 아키텍처는 적정 알고리즘, 고성능, 고효율 대역 계측, 최단 대기시간등이 특징이다. 현재 개발 중인 장치는 80g 중량의 칩에 모든 감지 기술을 통합하는 기술이다. UAV는 재래식 ISR 장치와 관련 보조 장치를 소형 EW 장치와 공동 운용함으로써, 전술적수준의 임무를 포함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 용어설명 >※ SWaP: Size, Weight, and Power) (자료 및 사진출처 :Co
2017-01-23 21:02공군은 C-130 수송기의 유지비용 절감과 성능 향상을 위하여 롤스로이스사와 T56엔진 개량사업을 추진 중인것으로 알려졌다.전술공중 수송의 주축인 C-130 수송기의 연료 효율을 높이고 유지정비 비용을 낮추며, 신뢰도와 성능을 높이기위하여 T-56 엔진의 개량개발을 추진하는 것이다. 새로운 엔진은 수송기의 분해수리 단계에서 교체 장착이 가능하며, 다른 부분의 변경 없이 장착이 가능하다. 첫 비행시험에서 많은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연료효율이 12% 향상되고 엔진터빈 온도가 100℃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개발된 T56 Series 3.5 엔진은 P-3, E-2, C-2 항공기에도 탑재할 계획이다. 롤스로이스는 T56 엔진의 터빈블레이드, 베인, 씰 등의 새로운 설계를 통하여 효율, 성능, 신뢰도를 높였다. 신뢰도를 22%, 항속거리를 9.4% 향상시키며 배기가스의 오염도를 저감시켰으며,터빈온도가 낮아져 정비 간 시간을 25% 개선하여 정비비용을 절감했다.미 공군은 사업예산 3,800만 달러를 약 6년 내에 회수 가능할 것으로분석하고 있으며, 총 경제적 기대효과는 20억 달러로 추산하고 있다.
2017-01-12 21:34미 육군은 공용화기 무기조준경(FWS-CS) 사업의 일환으로 BAE시스템스사의 고해상도 열상무기조준경을 도입하는계약을 체결했다. 병사는 특수 무기조준경을 사용하여 원거리 표적을 빠르고 정확하게 사격이 가능하게 된다.FWS-CS 원거리 적외선 조준경은 0.50구경 M2 중기관총, 7.62mm M240 기관총, Mk19 자동유탄발사기용으로주·야간 전천후에서 운용이 가능하다. 장치는 고해상도 센서와 경량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준경의 영상을 무선으로 헬멧에 장착된시현장치(HMD)로 실시간 전송된다.혁신적인 12μ 센서 기술은 탁월한 선명도와 사격거리를 제공하여 모든 작전 환경 및 조건에서 상황인식능력의 빨리지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FWS-CS 조준경은 감시, 상황인식, 교전능력및 생존성 측면에서 상당한 우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용어설명>※ FWS-CS: Family of Weapon Sights . Crew Served) (사진 및 자료출처 :BAE wins $384m contract to supply thermal weapon sights for US Army, army-technology.com)
2017-01-11 11:43미국 육군이 최초의 30mm포 탑재 스트라이커(Stryker) 시제장갑차를 10월 27일 인수했다. 성능을 개량한 스트라이커는 유럽 주둔 제2기갑연대 명칭인 드라군(Dragoon)으로 명명될 것으로 보이며, 신형 완전통합된 전차장 스테이션, 성능개량 동력전달장치, 개조 차체도 구비하고 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15년 이후, 유럽의 육군 지휘부는 전장에서 러시아 장갑차들의 위력에 놀란 바 있다. 제2기갑연대에 대한 야전 배치는 2018년 5월부터 개시될 예정인데, 이는 개념설계에서 납품까지 거의 신기록에 가까운 속도이다. 육군은 스트라이커 부대 파괴력 전략의 핵심요소 두 가지에 관한 사업지침을 제시하였는데, 네트워크 사격을 통한 표적 위치 파악과 교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트라이커에 장갑으로방호되는 재블린(Javelin) 능력을 제공하고 대전차 유도미사일 능력을 개선하는 것이다.
2016-11-29 22:05미 육군은무릎부착형 생체공학적 전력 포집기 ‘파워워크(PowerWalk)’가 현재 개발 중에 있으며, 2017년에 야전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다리의 위쪽과 아래쪽에 부착되어 병사가 움직일 때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이며, 무릎의 움직임을 전력으로 전환한다. 병사들은 컴퓨터, 무전기, 이동식 전화기 등을 포함하여 전략·통신·항법을 지원하는 여러 개의 전자장비를 휴대하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전력이 없을 경우 병사의 안전, 능력,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파워워크’ 장치의 목표는 병사가 사용하는 배터리의 양을 줄이거나, 동일한 하중으로 임무수행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배터리로 인해 휴대 중량이 증가하는데, 무거운 휴대하중은 부상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동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에너지 포집기술은 배터리 수량을 줄여 휴대하중을 감소시키고, 배낭에 추가 공간을 만들어 식량 및 식수 등 다른 보급품 휴대 가능하다. 장치를 착용하여 자신 또는 다른 사람을 위한 배터리 재충전이 가능하다. 무릎 착용형 에너지 포집장치는 내리막길을 걸을 때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근육의 피로도를 줄이고, 모터로서 기동력도 강화 가능을 한다.
2016-11-28 19:55DARPA는 대잠함전용 지속추적무인정(ACTUV)의 2018년 해군 배치를 목표로 2010년부터 개발사업에 착수한 바 있다. (※ ACTUV: Anti submarine warfare Continuous Trail Unmanned Vessel) 소음수준이 낮은 최신 디젤-전기 잠수함의 지속적인 추적을 위한 수상선 개발이 목표이다. 개발된 ‘씨헌터(Sea Hunter)’는 자율무인 수상정으로 2016년 진수했고,2016년 초기 운항시험을 실시하여 선박의 성능과 신뢰도가 확인되었으며, 2017년 해양충돌방지규정(COLEGS)시험을 실시하여 국제 운항 인증을 획득할 계획이다. (※ COLEGS: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 at Sea) 2017년 시험에서는 센서, 자율항해체계, 종합성능시연 등의 시험도 실시하여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씨헌터는 대양 횡단이 가능한 항속거리 19,000km의 자율항해 무인정으로, 2개의 디젤엔진으로 추진된다. 길이 40m, 배수량 135톤의 ‘3동선(trimaran)’ 선체이며 최대속도는 50km/h, 필요에 따라 60~90일을 지속 항해하며 잠수함 탐색 및 추적 체
2016-11-28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