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레이시온사의 최신 통합 공중·미사일 방어 레이더가 1년 만에 1,000시간 이상 시험운용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 레이더는 패트리어트 방공 및 미사일방어 체계의 성능개량을 위해 제안된 질화갈륨(GaN) 기반 능동 전자주사 위상배열(AESA :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를 사용한다. 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미 해군 AMDR 레이더와 같이 GaN을 성공적으로 개발·발전시킨 경험이 있었기때문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 시험 중 GaN 기반 AESA 레이더 2대가 360° 전방위 탐지 능력을 시연하였음다. 두 개 배열이 끊임없이 정보를 교환하여 표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였고, 주 배열은 전술 기동하는 전투기와 수천 대의기타 항공기를 탐지·추적하였다. 레이더는 현 패트리어트 포대 교전통제소와 호환되며, NATO 체계와도 상호운용성이보장된다.폴란드가 GaN 기반 AESA 패트리어트 관련 구매의향서를 제출하였으며, 독일의 차세대 네트워크기반 전술방공체계인 TLVS(Taktisches Luftverteidigungssystem) 사업 요구사항도 충족시킨다.
2017-06-11 18:32텍스트론사가 경량 공중발사 정밀유도 활강무기인 퓨리(Fury)의 개발을 완료했다. 퓨리 개발은 2016년 10월에 완료되었으나, 텍스트론사는 2017년 5월에야 개발완료 사실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퓨리는 영국 탈레스사가 개발한 LMM 계열 정밀무기 기술에서 파생하였으며, 미국 텍스트론사가 제작·통합한 다수의 체계를 활용했다. 퓨리는 길이 68.6cm, 직경 7.62cm, 무게 5.8kg인 소형 활강무기로서, 주로 중고도 및 전술용 UAS에 탑재 될 예정이다. 사브사의 1.8kg 탄두와 운용자가 선택 가능한 텍스트론사의 3중모드(충격, 공중폭발, 지연) 신관을 장착했다. 중기단계에서는 GPS 지원 관성항법 유도방식을 사용하고 종말단계에서는 반능동 레이저 유도방식을 사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정지 및 이동표적을 1m 이내의 정확도로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다. 퓨리는 2016년 10월 시험에서 8,000ft 고도에서 투하되어 1.5km 떨어진 이동표적 타격에 성공한 바 있다. <용어설명>LMM: Lightweight Multirole Missile (경량 다목적 미사일) (자료 및 사진출처 :extron Systems finalises development
2017-05-31 13:16미공군연구소(AFRL)가 중무장지상공격기(gunship)로부터 발진하여 원거리의 정찰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관발사형 무인기를 개발·시험 중이다. AC-130 공격기가 기상, 위험 등의 사유로 목표에 접근이 곤란한 경우, 기존에 탑재된 발사관에서 소형 정찰무인기를 발진시켜 모선의 정찰용 주 장비 수준의 동영상(FMV)을 획득하기 위한 TOBS(TOBS: Tactical Off-Board Sensing)사업을 진행 중이다.AFRL은 여러 가지 관발사형 무인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미특수작전사령부(USSOCOM)의 요청에 따라 AC-130에 적합한 무인기 알티우스(ALTIUS)를 Area-I사와 개발 중이다. Area-I사는 알티우스 무인기가 AC-130J 및 AC-130W Singer II 공격기의 공용장비인 직경 6인치, 길이 4ft의 발사관에 적합하도록 소형화 개발 중이다. 알티우스는 배터리와 전기 프로펠러로 추진되어 200kts의 속도로 비행한다. 비행용 날개는 발진 후 전개되며, 주야간용 EO/IR 장비를 탑재했다. 현재는 1회용 개념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회수 방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자료 및 사진출처 :AFRL looks to ext
2017-05-28 18:53미국 레이시온사가 적의 미사일뿐만 아니라 유·무인항공기를 탐지·식별·추적하기 위해 방공레이더 체계에 대한 전면 개발을 추진 중이다. 레이시온사는 미 공군과의 계약을 통해 3D 원정 장거리 레이더(3DELRR) 체계의 최신 개발 버전 3대를 제작할 예정이다. 3DELRR 레이더는 미 공군이 보유한 노스롭그루먼사 제작 AN/TPS-75 이동형 3D 수동 전자주사배열 공중탐색 레이더를 대체할 예정이다. 미 공군은 시제품 레이더 3대가 설계·제조·개발(EMD) 단계이지만, 소량생산, 군수지원, 적절할 경우 양산과 관련하여 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고 밝히고있다. 3DELRR 체계는 레이더의 탐지범위, 수신감도, 탐색능력을 증가시키는 C-밴드 질화갈륨(GaN) 기반 레이더이다. 전구항공통제체제를 통해 합동공군구성군 사령관에게 공중표적을 탐지·식별·추적·보고한다. 3DELRR 체계는 대량의 첨단 UAV, 고정익 항공기, 헬기, 탄도 및 순항미사일 등이 사용되는 미래 분쟁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3DELRR 체계는 노스롭그루먼사가 미 해병대를 위해 제작 중인 G/ATOR 레이더와 GaN 기술에 기반을 두는 등 유사하나, G/ATOR이 단거리--중거리 다목적 레이더
2017-05-25 15:36최근 미 공군이 보잉사의 탈론 헤이트(Talon HATE) 공중 네트워크 체계를 이용하여 다수 항공기 및 지상기지와 교신을 시연했다고 발표했다. 넬리스 공군기지에서 진행된 비행시험에서, F-15C 전투기에 탑재된 탈론 헤이트 포드를 이용하여 군용 링크 16, 공통데이터 링크 및 광대역글로벌위성 통신을 통해 정보를 공유했다.시험에서 F-22 랩터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기능을 검증하고 다른 항공기와 무기체계 사이에 빠르게 정보 전송도 확인됐다. 미 공군은 개발 단계 비행시험을 완료하고 실전배치를 기다리는 중이며, 올해 중에 첨단 센서를 이용한 추가 시험을 통해 항공기의 표적획득 성능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탈론 헤이트는 중요한 기능을 신속하게 배치하기 위한 미 공군 사업에 따라 개발됐다. 또한 보안 데이터 교환 기능과 내장형 적외선 탐색·추적(IRST) 센서가 결합된 포드 체계로 구성되어있다. 미 공군용으로 탈론 헤이트를 개발 중이기는 하나, 잠재적 국제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도 진행 중이다. <용어설명>※ IRST: InfRared Search-and-Track (자료 및 사진출처 :Boeing demonstrates Talon HATE airb
2017-05-25 15:20미국 BAE시스템스사가 미 공군을 위해 적 탄도미사일 발사와 잠재적 우주 위협에 대한 미사일 방어 및 조기경보를 제공하는글로벌 레이더 네트워크의 성능개량 및 정비를 실시할 예정이다.미 공군과 BAE시스템스사는 계약에 따라 반도체 위상배열 레이더체계(SSPARS)에 대한 운용, 군수지원을 실시한다. 레이더 체계는 미사일 경보와 우주 감시를 위한 레이더, 컴퓨터, 통신체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SSPARS는 한때 위상배열 경보체계(PAVE PAWS) 및 탄도미사일 조기경보체계(BMEWS)로 불렸다.SSPARS는 지상기반 레이더체계로서 미 본토를 겨냥한 전 세계 ICBM에 대한 경보 및 공격평가 정보를 미 전략사령부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또한 SLBM 공격을 경보하며, 탄도미사일 공격 강도 평가를 위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한다. SSPARS 기지는비일, 케이프 코드, 클리어, 파일링데일즈, 툴레기지의5개 공군기지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레이더체계의 데이터 및 신호 처리 하부체계에 대해서는 상당한 성능개량이 이루어졌고, 레이더체계의 전단부(front-end) 및 원격능력에 대한 기술개선이 필요하다.자매 체계인 PARCS 체계는 탄도미사일 경보 및 공격평가뿐만 아니라,
2017-05-24 09:16미국 미사일방어국이 우주공간에서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첨단 다중목표 직격요격체(MOKV) 개발을 위하여 3개 업체와기술위험경감(TRR) 활동 계약을 체결했다.보잉사는 첨단 통신, 교전관리기능 및 식별능력을 갖춘 탐색기 등의 성능개선 및 TRR 활동을 담당하고,레이시온사는 보안통신체계, 고감도 다중대역 센서, 생존성이 높은 처리장치, 직격요격체 궤도수정 및 자세제어장치,버스 센서 및 센서 지향, 교전관리 등에 대한 성능개선 및 TRR 활동을 책임지고,록히드마틴사는 짐벌구조의 탐색기, 통합 항전장비, 구성품 통합 및 시험 등에 대한 성능개선 및 TRR 활동으로 역할을 구분했다. MOKV 개념은 기만체계 및 대응책을 구비한 하나의 미사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요격하는 것이 목적이다.현 EKV를 재설계한 RKV는 2020년까지 배치가 마무리되지만, MOKV는 2026년경에 배치를 시작하여 RKV와 함께운용할 계획이다.EKV 요격시험은 1999년부터 17회 실시하였으나, 추력기 진동으로 인한 관성측정장치이상 등으로 단지 9회만 성공했다. <용어설명>※ MOKV: Multi-Object Kill Vehicle※ TRR: Technology Risk Reducti
2017-05-24 09:15에어로바이런먼트(AeroVironment)사가 보병이 운용하는 손바닥 크기의 무인기 스나이퍼(Sniper)를 개발했다.스나이퍼는 휴대용 터치스크린 장비로 조종되며, 실시간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휴대전화 크기의 정찰용 무인기다. 교체형 배터리로 운용되며 1회 항속시간은 약 15분이고, 2대를 교대 사용하여 최대 30분간 정찰을 수행하는 운용개념이다. 미군은 20대를 구매하여 시험운용 중이며, 10대를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에어로바이런먼트사는 DARPA의 나노비행체 허밍버드(Hummingbird) 개발에 참여하여 축적된 기술을 스나이퍼 개발에 활용했다. 에어로바이런먼트사는 스나이퍼의 운용을 위하여 2가지의 데이터링크를 개발하였으며, 운용범위는 약 1km이다.스나이퍼는 지상에서 이륙시키며, GPS 신호를 사용하고 35.4km/h의 속도로 비행하며 20kts 이하의 바람에서 운용이 가능하다.35kts 이상의 측․배풍 환경 운용이 일반적인 헬리콥터 설계의 요구조건임을 고려하면, 마이크로비행체가 풍속 20kts에서 운용될 수 있는 성능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동영상 촬영을 위한 소형 EO/IR 카메라를 장착하며, 병사가 조종기로 카메라 방향을조종한다.조종기 스크
2017-05-22 23:302017 ITEC 전시회에서 미 록웰콜린스사가 지상·해상·공중 영역에 대한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훈련체계인 코얼레슨스(Coalescence)를비롯한 고성능 비주얼 솔루션을 선보였다.TEC 2017는 네덜란드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제 국방·산업·학계 시뮬레이션 전시회로 올해는20 5월 166~18일 개최됐다.코얼레슨스 체계는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 세계에 가상의 객체를 완벽하게 중첩함으로써 보다 실전과 같은훈련을 제공한다. 또한 설치공간도 적게 차지하고 실제·가상·구성(LVC) 기술을 통해 연결할 수 있으며, 전 세계에 있는 다른 훈련 구성요소를이용하여 훈련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록웰콜린스사가 전시하는 코얼레슨스 체계 외에 주요 훈련체계는 융통성 있는 사격요청(call for fires)훈련체계로서이동식 또는 고정식 운용이 가능리얼파이어(RealFires) JTAC/JFO 훈련체계,완전 통합된 착용형 고충실도 장비, 헤드업 몰입형 훈련을 지원헬멧장착 디스플레이 훈련체계,동급 최고 해상도의 완전한 지구 데이터베이스 제공하는 호울어스(WholeEarth) 합성환경체계, 비용 대비 최고의 현실성 및 성능 제공EP-8100
2017-05-22 23:23미 해병대가 함정-지상간 병사 수송용 MV-22 오스프리(Osprey)의 적진 진입에 선행하여 적의 대공 공격을 무력화할함상운용 무인공격기를 개발·전력화할 계획이다.MV-22는 250kts의 빠른 속도로 비행하여 1대당 해병 22명을 적진에 투입시키는 개념으로 운용되는데, 공격헬기의속도로는 지원이 곤란하여 새로운 수직이착륙 중무장 무인기 ‘MUX’ 체계를 개발할 계획이다. 미국 Piasecki사가 DARPA 및 록히드마틴사의 스컹크웍스 팀과 개발한 모듈형 공육양용 수직이착륙기 ARES를 기본으로운용개념과 요구성능을 충족하는 공격무인기를 개발한다.(※ ARES: Affordable Reconfigurable Embedded System)MUX는 적의 대공포, 지대공미사일, 주요 진지를 로켓, 폭탄, 미사일로 공격하는 임무를 가진 수직이착륙기로 공군의MQ-9 리퍼(Reaper) 수준의 Group 5 무인공격기로 개발될 계획이다. Group 5 무인기는 중량 1,320lbs, 고도 18,000ft, 속도 250kts 이상이다.250kts의 비행속도 구현을 위하여 ARES 무인기의 지상운용 개념을 삭제하고,전기 덕트팬과 꼬리날개를 적용하여 피치와 항력을 감소시켰다.
2017-05-22 03:36